문제 설명
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(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)이 있으며,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"소모 피로도"가 있습니다.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, "소모 피로도"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 "최소 필요 피로도"가 80, "소모 피로도"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,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.
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있는데,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을 최대한 많이 탐험하려 합니다.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별 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유저가 탐험할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- k는 1 이상 5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dungeons의 세로(행) 길이(즉, 던전의 개수)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.
- dungeons의 가로(열) 길이는 2 입니다.
- dungeons의 각 행은 각 던전의 [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] 입니다.
-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항상 "소모 피로도"보다 크거나 같습니다.
-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"소모 피로도"는 1 이상 1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서로 다른 던전의 [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]가 서로 같을 수 있습니다.
k | dungeons | result |
80 | [[80,20],[50,40],[30,10]] | 3 |
현재 피로도는 80입니다.
만약, 첫 번째 → 두 번째 → 세 번째 던전 순서로 탐험한다면
- 현재 피로도는 80이며, 첫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 또한 80이므로, 첫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2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6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60이며, 두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50이므로, 두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4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2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20이며, 세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30입니다. 따라서 세 번째 던전은 탐험할 수 없습니다.
만약, 첫 번째 → 세 번째 → 두 번째 던전 순서로 탐험한다면
- 현재 피로도는 80이며, 첫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 또한 80이므로, 첫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2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6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60이며, 세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30이므로, 세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세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1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5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50이며, 두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50이므로, 두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4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10입니다.
따라서 이 경우 세 던전을 모두 탐험할 수 있으며, 유저가 탐험할 수 있는 최대 던전 수는 3입니다.
생각한 풀이 방법 (1차 시도 -> 실패)
최소 필요 피로도 - 소모 피로도가 가장 큰 순서 부터 처리하면 된다고 생각함
1. 최소 필요 피로도 - 소모 피로도 내림차순으로 dungeons을 정렬
2. dungeons을 탐색 후, 탐험할 수 없으면 해당 값을 반환함
function solution(k, dungeons) {
let count = 0;
for (let i = 0; i < dungeons.length; i++) {
const minValue = Math.min(dungeons[i][0], dungeons[i][1]);
if (k >= minValue) {
k -= minValue;
count++;
} else {
break;
}
}
return count;
}
검색한 풀이 방법
- DFS를 활용하여 현재 피로도로 각 던전을 방문하여 최대로 탐험할 수 있는 던전 수를 계산
- answer의 최대값을 반환함
function solution(k, dungeons) {
let answer = 0;
let visited = new Array(dungeons.length).fill(false);
function DFS(k, count) {
for(let i=0; i<dungeons.length; i++) {
if(k >= dungeons[i][0] && !visited[i]) {
// 방문 체크
visited[i] = true;
DFS(k-dungeons[i][1], count + 1);
// 방문 해제
// dfs가 다 끝났을 때에 방문 노드를 false해주지 않으면 다른 배열에서 돌 때 true여서 다른 배열이 진행하지 못한다.
visited[i] = false;
}
}
answer = Math.max(answer, count);
}
DFS(k, 0);
return answer;
}
- DFS 함수는 각 던전을 순회하면서 방문 여부와 피로도를 확인.
- 만약 현재 피로도가 방문하려는 던전의 최소 필요 피로도보다 크고, 해당 던전이 방문되지 않은 상태라면, 해당 던전을 방문.
- 방문한 던전은 방문한 것으로 표시하고, 현재 피로도를 해당 던전을 탐험하는 데 필요한 소모 피로도만큼 감소.
- 방문한 던전을 기준으로 다시 DFS를 호출하여 더 깊이 들어감.
- DFS의 호출이 종료되면, 현재 탐험한 던전 수를 최대값인 answer와 비교하여 업데이트.
dfs를 공부 좀 해야겠다...